-
장지관련 2020.08.25납골당 (納骨堂)예전에, ‘봉안당’을 이르던 말.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모셔 두는 곳. 납골 (納骨)예전에, ‘봉안’을 이르던 말.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그릇이나 봉안당에 모심. 매장 (埋葬)땅에 고인을 모시는 방법.
-
기본용어 2020.08.25장사 (葬事)시신을 화장하거나 매장하는 등의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 부고 (訃告)고인의 죽음을 알리는 것. 상가 (喪家)상을 당한 자택이나 장례식장 등 장례를 치르는 장소. 상주 (喪主)고인의 자손으로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 . 유족 (遺族)고인과 친인척관계에 있는 사람. 문상 (問喪)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족을 위로하는 일.
-
장례시설용어 2020.08.25장례식장장례의식을 행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장소. 빈소(殯所)문상객의 문상을 받기 위하여 고인의 영정이나 혼백을 모셔 놓은 장소. 접객실문상객을 대접하기 위한 장소. 안치실[같은 말]영안실(병원에서 시신과 위패를 모셔 두는 방). 염습실시신을 목욕시켜 수의를 입히고 입관하는 장소. 유족참관실염습할 때 유족이 참관하는 장소.
-
장례절차 용어 2020.08.25성복 (成服)입관후 상주와 복인이 상복을 입는 일. 상식 (上食)고인이 생시에 식사하듯 빈소에 올리는 음식. 장지 (葬地)시신을 화장하여 납골하는 장소 또는 매장하는 장소. 발인 (發靷)장례를 지내러 가기 위하여 상여가 집에서 떠남. 또는 그런 절차. 사망진단서 (死亡診斷書)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에 작성하는 문서. 고복 (皐復)고인이 소생을 바라는 마음에서 시신을 떠난 혼을 불러들이는 것. 수시 (收屍)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다리 등을 가지런히 하는 행위. 안치 (安置)시신의 부패와 ..
-
장례용품 용어 2020.08.25상가 (喪家)장례를 치르는 장소로서 상을 당한 자택이나 장례식장.멱목 (冪目)시신의 얼굴을 덮는 천.충이 (充耳)시신의 귀를 막는 솜뭉치로 된 귀마개.악수 (幄手)시신의 손을 싸는 손 싸개.습신시신에게 신기는 신발. 장례용품용어 금침 (金枕)베개오낭 (조발랑이)대렴 입관때 고인의 손톱, 발톱, 머리털을 깍아 담는 삼베로된 주머니입니다.만장 (輓章)상여로 발인을할 때 죽은이를 슬퍼하여 지은글을 비단 천에 적어서 기(旗)를 만들어 상여 뒤를 따라 갑니다.작지 (상장막대기)상여 뒤를 따라가는 상주가 짚는 지팡이로서 남자 상주는 대나무 ..
-
장례지도사란? 2020.08.25장례지도사란? 상(喪)을 당한 유족의 요청에 따라 장례절차를 주관하는 사람으로 장례상담, 시신관리, 의례지도 및 빈소설치 등 종합적으로 장례의식을 관리하는 인력을 말합니다. 국가자격제도 도입 배경 산업사회의 발달 및 도시화 대부분의 장례서비스가 장례관련 전문인력에 의해 진행. 일부 장례관련 종사자들의 문제점으로 시신 운구, 염습, 입관 등 장례 전반에 관해 진행이 미흡 시신 관리가 안 될 경우, 보건위생상의 위해 발생 우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장례지도사 국가자격증 제도를 도입하여 종사자의 전문성, 직업윤리성을 높여 장례서..
-
상조회사 차이점 선불제.후불제 어떤점이 다를까 ? 2020.08.25상조회사 차이점 선불제, 후불제 어떤 점이 다를까?오늘 준비한 소식은 최근 많은 분들이 상조회사를 선택할 때 고민하게 되는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과거에는 선불제로 미리 가입해두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후불제를 통해 장례가 발생한 이후에 가입하게 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 두 가지 상조회사 차이점은 어떤게 있는지 살펴보려고 하니 참고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선불제.후불제 상조 어쩐 차이점이 있을까요 선불제는 계약기간을 정해두고 그 기간동안 적금 형태로 월 납입금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만기시 환급되는 사항이 존재하..
-
장례예절-조문예절 2020.08.25장례예절 (전통에서 오늘날 장례예절) 절의 의의와 음양(陰陽) 사상 절은 상대편에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초적인 행동예절이다. 그 대상은 비단 사람뿐만 아니라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산소, 지방, 사진 등)에 대해서도 한다. 자고로 우리나라를 동방예의지국이라 하였지만, 지금은 서양식 악수(握手)로 대신하며 우리의 인사법을 잊어 버렸지만, '사람의 일'이요 '사람을 섬기는' 우리의 인사법을 익혀 겨레의 예도(禮道)를 바르게 이어나가야겠다. 절을 하는 데의 기본 원칙 사상은 음양 사상이다. 이러한 원칙은 남녀가 함께 치루는 ..
-
웰다잉 이란 무엇일까요? 2020.08.24웰다잉 이란 무엇일까요??웰다잉이란 직역하면 행복한 죽음을 의미하는데요 모두 죽음을 멀리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지만 누구나 태어나면 죽기 때문에 웰다잉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데요.바쁜 생활 속에서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면 웰다잉에 한 걸음 다가설 수 있습니다.웰다잉 지도사는 자신에게 삶이 1년이 남았다면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을 하는데요 그 때 답한 것을 지금 당장 시작하는 것이 웰다잉을 시작하는 방법입니다 웰다잉 프로그램으로는 먼저 웰다잉 노트 작성하는 것이 있는데요. 웰다잉 노트는 유언장을 포함하여 자신의 지난 삶을..